일상-행사

태양의아들 잉카

차화로 2010. 3. 16. 06:58

 '태양의 아들 잉카' 특별전이 열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차화로와 노을 입니다.

 

 

 박물관 중앙의 계단에 장식된 마추피추 입니다

 

 

 

 

 

 

 

 

 

 

 

 

 

 

 

 

 

 

 

 

 

 

 

 

 

 

 

 

 

 

 

 

 진흙으로 만들어진 시판피라미드의 현재모습(위)과 풍화전 모습입니다(아래)

 시판피라미드의 부장모습(위)과 발굴당시 모습(아래)입니다.

 

 

  

 고대종교에서 가장 숭배를 받았던 땅을상징하는 신 '펠리노'입니다.

 

  

 

 

 

 

 

 

 

 

 

 

 

 

 

 

 

 

 

 

 

 

 

 

 

 

 

 

 잉카전 출구를 나서면서 차화로와 노을님

 

 

 


<잉카 제국>

15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남아메리카의 중앙
안데스 지방(페루·볼리비아)을 지배한 고대제국의 명칭.
동시에 그 사회적 중핵(中核)으로 되었던 부족 및 그 지배 계급의 사람들에 대해서도 잉카라는 명칭이 사용된답니다.

잉카족은 케추아족이라고도 불리며, 남방의 아이마라족이나
북방의 창카족 등과 함께 페루 인디오의 한 집단이었다는군요.



남아메리카의 중앙 안데스 지방에는 BC 2000년경에 초기 신전(神殿)이 출현하였고,
이후 차빈·모티카·나스카·티아우아나코 문화 등이 잇따라 번영하였다지요.

1200년경부터 지방적인 국가 형성기로 들어가,
각지에 왕국·수장국(首長國) 등 정치조직이 성립하였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강대하였던 것은
페루 북해안 지방의 찬찬(Chan Chan)이라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치무(Chimu) 왕국이었으나,
잉카제국은 그들 여러 왕국 중에서 가장 늦게 나타나 치무를 비롯하여
각지의 지방적 정치조직을 정복 통합하고
전(全)안데스 지대에 걸치는 통일국가를 형성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