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땀 이렇게 극복하라!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비오듯 흐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운동을 오래 해도 땀 한 방울 나지 않는 사람이 있다. 흔히 말하길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몸이 허해서 그렇다고 말하는데, 그렇다면 과연 땀이 안 나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 몸의 상태에 따라 땀이 나는 것이
좋을 때도 있고, 안 나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땀을
나게 하는 주요 요인에는 정신적 요인·온도 요인·미각 요인 등이 있는데, 각각의 요인에 따라 땀이 나는 부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정신적
요인에 의하여 어떤 자극이 대뇌에 작용하면 감정의 변화를 일으켜 손·발을 시작으로 전신에서 땀이 나게 된다. 온도 요인에 의한 경우 땀은
전신에서 시작하여 손·발로 퍼져나가고, 미각 요인에 의한 경우 즉 매운 음식을 먹을 경우엔 안면이 붉어지고, 입술과 코에서 땀이
난다.
한의학에서는
비정상적인 경우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한汗·토吐·하下·화和·온溫·청淸·보補·사瀉 등 여덟 가지 치료법이 있는데, 땀을 내거나 반대로 기를 보해서
땀이 안 나게 함으로써 치료한다.
동무
이제마 선생의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도 각 체질에 따라서 땀이 나고 안 나는 것으로 병의 호전과 악화를 다르게 설명하였다.
그러면
체질적으로 땀이 나는 원인과 비정상적인 경우의 치유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먼저
태음인의 땀은 몸에 이로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땀을 냄으로써 안으로 쌓이기 쉬운 내열을 밖으로 발산시켜 몸안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환자일 경우 땀이 안 나오게 막는다면 내열이 쌓여서 더 답답해지고, 번열이 생기며, 혈압이 오르고, 불면증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태음인은 사우나나 운동 등을 통하여 땀을 내는 것이 몸안의 열과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병이 났을 때
이마에서부터 얼굴·턱·귀 뒷부분·가슴·전신으로 퍼지는 땀이 난다면 이는 병을 낫게 하는 이로운 땀이지만, 열이 후끈하게 달아오르면서 얼굴과
상체에만 나는 땀은 좋지 않은 증세이므로 병의 원인을 찾아서 치료해야 한다. 한편 병적인 땀을 흘릴 때 처방으로는
태음조위탕·조위승청탕·열다한소탕·청폐사간탕 등을 활용해 볼 수 있다.
소양인은
땀이 적지도 많지도 않다. 대체적으로 소양인의 손과 발에 나는 땀은 병이 호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로운 땀이지만, 얼굴에만 나는 땀이라면 화가
오르는 원인을 알아내어 치료를 해야 한다. 이를 방치하면 겨울에 찬 음식을 먹어도 얼굴에 땀이 나거나 가슴이 답답해지고 건망증도 심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가벼운 증세라면 신선한 수박·토마토·오이·녹두·보리 등을 먹거나, 산수유차·구기자차 등을 마시면 좋다. 병적인 땀의 경우는
자음강화탕·양격산화탕·육미지황탕 등을 처방하게 된다.
소음인은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건강을 해치는 체질이다. 이 때문에 건강한 사람은 땀이 적으며, 운동을 하더라도 땀이 잘 나지 않는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을 한다든지, 뜨거운 곳에 오래 있는다든지, 사우나를 한다든지 하여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어지럽고 기운이 빠져서 탈진하기 쉽다. 따라서
소음인의 경우 되도록 땀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움직일 때마다 땀이 나거나 자고 나서 땀에 푹 젖어 있을 경우 황기·인삼·대추를
같은 비율로 달여서 아침 저녁으로 보리차처럼 마시거나, 닭에다 황기를 한두 냥 넣고 고아서 먹는다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땀을 막기 위한
처방으로는 보중익기탕·황기계지탕·승양익기탕 등을 활용해 볼 수 있다.
『식은땀을
개선하는 약차』
○
황기대추차
황기(15g)와
대추 5개를 달여서 차대신 마신다. 하루 1∼2회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된다. 이때 대추는 썰어서 쓴다. 이 차는 중기中氣를 보하고 양혈養血과
심신을 안정시키며, 폐와 비장을 보하고 땀을 수렴하면서 기를 돋운다. 특히 소음인 체질에 좋다.
○
부소맥차
부소맥을
약한 불에 노랗게 볶은 후, 식으면 항아리에 담아둔다. 이것(7.5g)을 매일 3회 달여서 차대신 마시면 된다. 부소맥은 기를 돋우고 열을
해소하며 식은땀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 차는 특히 소양인 체질에 좋다.
○
오미산약차
오미자와
산약 각 5g을 찻잔에 넣고 끓는 물을 부어서 우려낸 뒤 마신면 된다. 신장 허약으로 빚어진 식은땀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 차는 태음인
체질에 특히 좋다.
○
포도차
포도를
물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포도는 기혈을 돋우고, 식은땀을 멎게 해준다. 이 약차는 특히 소양인과 태양인 체질에 좋다.
-
김수범, 「내 몸에 꼭 맞는 체질건강법」中에서
|